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종로아이들극장

모바일메뉴
 
 
[브릿지경제] 박정자·한태숙 연출, 베테랑들의 위엄이란 이런 것! 안데르센 동화연극 ‘엄마이야기’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시 : 2017-05-18 조회 : 4130
공연사진5_박정자_김성우
안데르센 동화연극 ‘엄마이야기’. 죽음 박정자를 따라나선 9살 태호 김성수.(사진제공=종로문화재단)
 

일흔 안팎의 배우 박정자와 한태숙 연출 그리고 국제아동청소년연극협회 한국본부를 이끌고 있는 김숙희 이사장, 베테랑 연극인들의 위엄은 안데르센 동화연극 ‘엄마이야기’(21일까지 종로 아이들극장)에서 유감없이 발휘된다.  

안데르센의 동화를 무대에 올린 ‘엄마이야기’는 어린이극답지 않게 ‘죽음’과 ‘상실’에 대해 다룬다. 죽음(박정자)을 따라 나선 9살짜리 아들 태호(김성우)를 되찾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엄마(전현아)의 이야기다.  
 

공연사진7_이지혜,전현아
안데르센 동화연극 ‘엄마이야기’는 고난에도 아들을 찾아나서는 엄마 전현아(오른쪽) 이야기다. 왼쪽은 괴물물고기 이지혜.(사진제공=종로문화재단)

시종일관 어두컴컴한 무대 위에는 괴물물고기(이지혜)에게 준 엄마의 눈알이 굴러다니고 하카탁(이정국)의 공격이 이어진다.

 

자식을 위해 죽음, 괴물물고기, 문지기(허웅)에게 목소리, 눈알, 젊음 등을 기꺼이 내어주는 엄마의 여정은 눈물겹다. 아들이 있는 죽음의 정원에 도달해서도 쉬운 결정은 없다. 

 

두려워 우는 아이, 짐짓 우려했던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울고 있는 엄마의 등을 토닥이거나 손을 꼭 잡는 아이들은 있었지만 무섭다 울음을 터뜨리는 아이는 없었다.

“아동극이라고 ‘애들은 그럴 것’이라는 짐작 안에서만 보여줘야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한 한태숙 연출의 선택은 틀리지 않았다.

어른들의 ‘그럴 것’이라는 짐작 속의 아이들은 실제 아이들이 아닐지도 모른다. 이렇게나 의연하고 속 깊은 아이들을 새삼 발견하는 것만으로도 ‘엄마이야기’는 볼만한 가치가 있는 연극이다.

그 가치의 핵심은 배우 박정자다. ‘죽음’으로 분하는 그는 서늘하지만 또 따듯하다. 죽음이라는 두려운 존재지만 마냥 차갑지만도, 아이들을 위한답시고 마냥 친절하지만도 않다.

공포와 따스함 사이를 절묘하게 오가며 극을 진행하는 이 베테랑 배우는 아이들에게 죽음은 두렵지만, 마냥 꺼려할 것만도 아님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Untitled-4
안데르센 동화연극 ‘엄마이야기’의 김숙희 예술감독(왼쪽부터), 죽음 역의 박정자, 한태숙 연출.(사진제공=종로문화재단)

 

9살 어린 나이에 생애 첫 죽음을 목도했던 자신처럼 아이들에게 첫 죽음으로 남고 싶었던 배우 박정자, 무서우면 무서운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엄마, 아빠, 주변인들과 함께 보는 연극이길 바라던 한태숙 연출, 두 베테랑의 강력한 의지는 “어릴수록 최고의 작품을 봐야 한다”는 김숙희 예술감독을 만나면서 빛을 발했다.  

죽음이 나이든 이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누구나의 것이 될 수 있는 일상임을, 모성의 위대함과 숭고함을 자연스레 깨닫게 하는 ‘엄마이야기’, 베테랑들의 ‘위엄’이란 이런 것이다.

 
2017-05-17
<브릿지 경제 허미선 기자>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70517010005582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