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문학관

영혼의 가압장,
윤동주문학관

2012년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2014년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하고,
2015년에는 현충시설로 지정되면서 공간의 가치와 더불어 그 의미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 윤동주문학관 외관 사진입니다.
  • 윤동주문학관 외부 행사 사진입니다.

윤동주문학관의 책 전시 사진입니다.

“ 종로, 청운 수도 가압장, 그리고 시인 윤동주 ”

시인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 문과 재학시절, 종로구 누상동에 있는 소설가 김송(金松, 1909~1988)의 집에서 문우(文友) 정병욱과 함께 하숙생활을 하면서 종종 인왕산에 올라 자연 속에서 시정(詩情)을 다듬었다고 전해집니다.

<십자가>, <바람이 불어>, <또 다른 고향> 등 지금도 사랑받고 있는 시인의 대표작들이 바로 이 시기에 탄생했습니다.

시인은 떠났지만, 그의 발자취와 세상을 향한 시선을 기억하고자 2012년 문을 연 윤동주문학관은 인왕산 자락에 버려져 있던 청운수도가압장과 물탱크가 의미 있게 변모한 곳이기도 합니다.

윤동주문학관 내부 전시 사진입니다.

“ 우리 영혼의 가압장 ”

가압장은 느려지는 물살에 압력을 가해 다시 힘차게 흐르도록 돕는 곳입니다. 삶에 지치고 상처 입은 우리 영혼에 시인의 시가 주는 든든한 위로와 다독임처럼 윤동주문학관은 곧 우리 영혼의 가압장이 될 것입니다.

이곳에서 시민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윤동주문학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체험 및 투어 프로그램이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전시실 안내

  • 시인채(제1전시실)

    시인의 순결한 시심(詩心)을 상징하는 순백의 공간으로 '인간 윤동주'를 느낄 수 있습니다. 9개의 전시대에는 시인의 인생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배열한 사진자료들과 함께 친필원고 영인본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 열린 우물(제2전시실)

    윤동주의 시 '자화상'에 등장하는 우물에서 모티브를 얻어 용도 폐기된 물탱크의 윗부분을 개방하여 중정(中庭)을 만들었고, '열린 우물'이라 명명했습니다. 물탱크에 저장되었던 물의 흔적이 벽체에 그대로 남아있어 시간의 흐름과 기억의 퇴적을 느끼도록 해줍니다.

  • 닫힌 우물(제3전시실)

    또 하나의 용도 폐기된 물탱크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여 만든 '닫힌 우물'입니다. 침묵하고 사색하는 공간으로 조성된 이곳에서는 시인의 일생과 시세계를 담은 영상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주변 시설

  • 별뜨락 (복합문학공간)

    문학관 옆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작은 쉼터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별뜨락에서는 잠시 마음을 환기시키며 다양한 서적을 열람할 수 있고, 체험·교육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 시인의 언덕 (산책로)

    문학관 뒤로 펼쳐진'시인의 언덕'은 산길 굴곡을 타고 오르며 바람을 맞을 수 있는 산책로입니다. 한가로운 산책보다는 청년시인의 힘찬 맥박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윤동주의 순결하고 꼿꼿한 시 정신을 반추할 수 있습니다.

관람안내 및 예약

관람안내 및 예약 - 관람시간, 휴관일, 관람료, 해설안내, 예약문의로 구성
구 분 내 용
관람시간 10:00~18:00 입장마감 17:30, 관람제한 13:30~14: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추석 당일
관람료 무료
해설안내
  • 관람시간 내 전화 및 방문하여 직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단체 방문 및 해설 요청 시, 사전예약을 권장하며 성수기(5~6월, 9~11월)에는 사전예약이 필수입니다.
  • 성수기(5,6,9,10월)에는 단체방문 및 해설요청 시, 사전예약이 필수입니다.
예약문의 070-4531-4176

전시 관람 시 유의사항

  1. 매일 30분간 (13:30~14:00) 청소 및 소독 시간이 있습니다. 방문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2. 제 3전시실에서 상영중인 영상은 17시 15분이 마지막 영상입니다.
  3. 음료 및 음식물 반입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4. 제 2전시실에서만 사진 및 동영상 촬영 가능합니다. ※제 1,3전시실 촬영불가
  5. 타 관람객의 관람을 방해하지 않도록 정숙해 주시고, 음주자의 출입을 금지합니다.
  6. 안내견을 제외한 반려동물 출입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7. 문학관 내부에는 화장실이 없습니다. (청운공원 공중화장실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문학관에서 100m 거리에 위치